
건강정보FAQ
광명성애병원에 자주 물으시는 질문들입니다.
의료검사, 생활건강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드립니다.
- 제목
- 삼차 신경통
- 진료과
- 신경과
- 조회수
- 7566
- 작성자
- 신경과
- 등록일
- 2014.07.22
1. 정의
뇌신경의 일종인 삼차신경에서 유발되는 격심한 안면부 통증을 말합니다. 즉, 다섯 번째 뇌신경인 삼차신경에서 유발되는 통증으로 식사나 대화하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자살을 생각할 정도로 격심한 통증이 자주 유발되므로 조기에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증상
이는 삼차신경의 분포 영역인 얼굴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며 대개 일측성으로 나타납니다. 통증의 특징은 발작성으로 전기자극 또는 송곳으로 찌르는 듯한 격렬한 통증이 수초에서 수분 동안 지속되며 통증의 시작과 끝은 갑자기 일어나서 갑자기 사라지 발작과 발작사이에는 통증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환자에게는 통증유발점이 있으며 얼굴을 가볍게 건드리기만 해도 통증이 일어납니다. 칫솔질, 세수, 면도, 식사 등에 의해 유발되므로 칫솔질이나 식사도 잘 못하고, 심지어는 말하는 것으로도 유발되는 등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없고 심한 우울증에 빠지게 됩니다. 또한 심할 경우에는 자살까지도 생각할 정도입니다.
3. 원인,병태 생리
대개의 경우 두개 내에서 삼차신경이 지나가는 경로에서 주위 두개 내 혈관에 압박되어 자극을 받아 일어납니다. 하지만 대부분 원인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고, 드물게는 뇌종양 등으로 유발되기도 합니다.
4. 진단
특별한 검사보다는 환자의 증상으로 쉽게 진단할 수 있으나 때로는 머리 단층촬영 등으로 확진할 수 있습니다. 뇌종양 등이 의심될 때는 반드시 머리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으로 확인 하여야 합니다.
5. 경과,예후
통증이 극심하고 칫솔질이나 식사, 심지어는 말하는 것으로도 통증이 유발되므로 거의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없고 심한 우울증에 빠져 자살을 기도할 정도이나 약물요법이나 신경차단술 등으로 치료가 잘 되므로 반드시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합병증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없고, 심한 우울증에 빠질 수 있으며, 식사를 제대로 못하여 전신 상태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7. 치료
약물치료와 신경차단요법 및 수술치료로 크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로는 일반적인 진통제로는 조절이 잘 되지 않고 항경련제(테그레톨 tegretol)가 가장 좋은 약물로 이용이 되고 있으며 대개 50% 정도에서 조절이 잘되지만 이는 계속 복용하여야 하고 약물에 의한 부작용(혈액 및 간기능 장애) 등으로 인한 한계가 있습니다.
신경차단법으로는 신경파괴제인 알코올이나 고주파열을 이용하여 문제가 되는 신경을 파괴시키는 방법이 이용됩니다. 이는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으며 한번 차단으로 평균 일년 정도 진통효과를 얻게 되며 차단부위에 따라 피부감각이 둔화되는 단점이 있지만 대부분 감각이 둔화된 것에 금방 익숙해 집니다.
그 외 수술적으로 삼차신경과 주위 혈관사이에 부드러운 스폰지 같은 것을 끼워넣어주는 미세혈관 감압술이 있으나 이는 개두술을 하여야 하는 부담감이 따릅니다.
- 이전글
- 뇌성마비의 정의
- 다음글
- 말초신경 장애에 대한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