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Allergy 관련검사
- 등록일
- 2014.04.17
- 조회수
- 5798
- 카테고리
- 광명성애병원
[Allergy 관련검사]
진단검사의학과장 김 일태
◎ 알레르기란?
외부물질에 대하여 자기 신체 방어기전 즉 면역이 과도하게 반응(과민성)하거나 변형된 반응으로 인하여 자기 신체에 해를 입히는 것을 알레르기라 한다.
◎ 알레르기 진단검사
진단이 확실하지 않는 경우나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검사가 필요하며, 환자 질환이 IgE에 의해 매개된 알레르기인지 여부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므로 IgE mediated allergy 인자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IgE는 면역글로불린 중에서 과민성을 전달하는 능력인 reagin활성을 가진다. IgE는 항원에 대한 특이성 유무에 따라 특이적 IgE 항체와 비특이적 IgE 항체로 분리되고 특이적 IgE는 특정 항원(allergen)에 대하여 반응한다. 삼나무, 화분, 집 먼지, 노른자 등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항원(알레르겐)에 폭로되어 감작되면 IgE의 생산이 높아져 혈중 IgE의 농도는 상승한다.
◎ Total IgE 측정
IgE는 알레르기 환자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나 증상의 경, 중도와 IgE치의 증감은 상관관계가 낮다.
◎ 특이적 IgE 측정
일반적으로 피부반응검사에 비해서 예민도는 낮으나 특이도는 더 높아 검사에서 양성이면 IgE mediated 알레르기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어서 피부반응검사와 상호 보완적이다. 간혹 특이적 IgE 농도가 임상 증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I형 알레르기의 기전이 모두 IgE 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에 기인한다. 즉 IgE가 고농도 경우에도 호염구나 비만 세포의 수, 국소분포, 세포 기능 등의 반응성, 히스타민 등 화학 물질의 양, 조직의 감수성, 혈류, 과잉 반응에 대한 억제 기구의 관여 등 임상 증상으로 나타나는데 다양한 인자를 고려 할 필요가 있다. 특이적 IgE의 농도가 반드시 총 IgE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면역능이 미숙하여 총 IgE 농도가 낮은 유아에서 자주 관찰된다.
◎ 특이적 IgE 측정 방법
-RAST (radio allergen sorbent assay)
아토피성 질환이 의심될 때 추측 알레르겐(allergen)을 지정하여 특이적 IgE 항체를 측정한다. 검사방법은 solid phase의 알레르겐에 환자의 혈청을 반응시켜 알레르겐에 결합된 특이적 IgE 항체의 양을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UniCAP system
RAST와 비슷하나 solid phase 대신 capsule에 든 cyanogens bromide activated cellulose carrier를 사용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지 않는다. 장점은 RAST에 비해 반응 시간이 빠르고 예민도가 높으며 단점은 기계 및 시약이 고가이다.
-MAST (multiple antigen simultaneous test)
원인 알레르겐의 추측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일 알레르겐 중에서 선택하여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인 알레르겐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다수의 알레르겐에 감작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MAST 검사가 유용하다. 40종류의 흡인성 알레르겐과 식이성 알레르겐에 대한 IgE 수치를 확인 할 수 있다.
현재 광명성애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시행하는 검사는 Total IgE 측정과 특이적 IgE 측정 검사 중 MAST (multiple antigen simultaneous test)를 시행하고 UniCAP system을 외부의뢰검사로 보내고 있다.
- 이전글
- 흔히 볼 수 있는 어깨 질환
- 다음글
- 수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