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칼럼
광명성애병원이 알려드리는 의학상식입니다.
광명성애병원은 고객님을 위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의료정보를 제공합니다.
- 제목
- 섬유근통
- 등록일
- 2018.09.11
- 조회수
- 4721
- 카테고리
- 광명성애병원
섬유근통
성애병원 류마티스내과과장 최지영
이유 없는 전신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있다. 온 몸이 쑤시고 아파 병원을 찾아 여러 가지 검사를 해봐도 이상이 없어 진단을 얻지 못하고 적절한 치료도 이루어지지 않아 환자는 고통을 겪는다. 환자에 따라 척추를 포함한 사지의 좌우, 상하에 걸쳐 통증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등이나 허리 혹은 특정 관절에 다른 곳보다 더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시리거나 저린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고, 피로나 수면장애, 편두통, 과민대장증후군 등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섬유근육통을 가진 환자들은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본인은 심한 통증을 느끼면서도 주위에서 볼 때는 이상이 없어 엄살을 부리는 것처럼 오해를 받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미국류마티스학회에서는 사용되는 진단기준에 따라 섬유근통의 유병률을 2~8%로 보고하고 있으며, 국내 조사에서도 2.2%의 유병률이 보고된 바 있어, 흔한 류마티스 질환 중 하나이다.
섬유근통의 증상발현의 기전은 복잡한데, 다른 류마티스 질환들처럼 유전적 소인이 있는 사람이 특정 환경에 노출된 경우에 발병하며, 강한 가족적 소인이 있어 섬유근통 환자의 가까운 가족에서 섬유근통이 발생할 확률은 8배 높다. 섬유근통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에는 감염, 신체적 손상, 비극적인 사건, 수면장애,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포함된다.
섬유근통 환자의 신체검사, 혈액검사, 방사선 촬영은 특이소견이 없다. 하지만 전신 관절통이나 근육통을 일으키는 다른 질환과 감별을 하거나 기저질환을 찾기 위해 검사를 시행한다. 섬유근육통은 다양한 임상증상을 갖기 때문에 감별해야 할 질환들이 많다.
섬유근통의 진단은 신체 부위별로 통증여부를 확인하는 전신통증지수와 피로, 잠에서 깨어날 때의 기분, 기억력이나 집중력 정도, 신체 증상 정도를 평가하는 증상중증도 척도를 평가하여 이루어진다. 섬유근통의 진단은 진단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고통 속에 지내게 되기 때문에 진단 자체로 긍적적인 효과가 있으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면 통증을 많이 경감시킬 수 있다. 약물적 치료와 함께 운동, 인지행동 치료 등의 비약물적 치료가 도움이 되기 때문에 병행하는 것이 좋다.
- 다음글
- 신경외과 의사의 쓸데없는 고찰